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5년 만기의 적립식 금융 상품입니다.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으며, 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가입 조건
- 연령: 가입일 기준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
- 개인 소득: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 가구 소득: 가입일 기준 직전 과세기간의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일 것.
- 금융소득종합과세 미대상자: 가입일 기준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팁: 병역 이행으로 인해 연령 초과 시,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을 연령 계산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2. 혜택
- 정부 기여금: 소득 구간에 따라 본인 납입액에 비례하여 정부가 매칭 지원금을 제공합니다.소득 구간총급여 기준종합소득 기준정부 기여금 지급 비율
1 2,400만 원 이하 1,600만 원 이하 6.0% 2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1,600만 원 초과 ~ 2,600만 원 이하 4.6% 3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2,6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3.7% 4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3.0% 5 6,000만 원 초과 4,800만 원 초과 미지급 - 이자 소득 비과세: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팁: 정부 기여금은 매년 개인 소득 심사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가입 방법
- 가입 신청: 취급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뱅킹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자격 확인: 신청 후, 개인 소득 및 가구 소득 등의 자격 확인 절차가 진행됩니다.
- 계좌 개설: 자격 확인이 완료되면, 선택한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팁: 가입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신분증, 소득 증빙 서류(예: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가구 소득 증빙 서류(예: 가족관계증명서) 등이 있습니다.
4. 관련 사이트
-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전용 누리집(https://ylaccount.kinfa.or.kr/yltInit):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상세 정보와 신청 절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정부24 청년도약계좌 신청 페이지 (https://www.gov.kr/portal/rcvfvrSvc/dtlEx/B55370100023): 온라인으로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팁: 각 은행별로 제공하는 우대금리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여러 은행의 조건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계획하여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비교한 글은 아래 글을 확인해주세요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차이, 비교, 중복가입 가능여부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모두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금융상품이지만, 목적과 운영 방식, 지원 혜택 등이 다릅니다. 두 상품의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해드릴게요. 청년희망적금
hye-on-world.tistory.com
반응형
'기록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 연체자였던 내가 선택한 마지막 방법ㅣ빚에서 빛으로: 개인워크아웃 회복일지 (0) | 2025.03.24 |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및 조건 (0) | 2025.02.11 |
2025년 모르면 손해보는 청년지원 혜택 총정리! (0) | 2025.02.11 |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차이, 비교, 중복가입 가능여부 (0) | 2025.02.11 |
2025년 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 방법, 혜택 정리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