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업·투잡/블로그

2025년 최저임금 및 기준 중위소득 정리 | 1인가구~6인가구 소득별 지원 기준

by hyeon_w 2025. 3. 18.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최저임금과 기준 중위소득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정부 지원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 60%, 80%, 100%, 120%, 140%에 대한 정보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많은 분들이 정부 복지 혜택을 알아볼 때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미리 체크해 두시면 유용할 거예요!

2025년 최저임금은 얼마일까요?

반응형
  • 시간급: 10,030원
  • 일급 (8시간 기준): 80,240원
  • 월급 (주 40시간 기준): 2,096,270원

2024년 최저임금(9,860원)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물가 상승률 등을 고려하면 체감적으로는 큰 차이를 못 느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최저임금이 오르면 각종 복지 기준도 바뀌게 되니 관련 정책도 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소득별 기준

기준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의 소득을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해요. 정부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데요, 보통 60% 이하일 경우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능성이 있고, 120% 이상이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요.

아래 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그에 따른 60%, 80%, 100%, 120%, 140% 소득 기준을 정리한 거예요.

 

구분 100%(기준) 60% 80% 120% 140%
1인 가구 2,392,013원 1,435,208원 1,913,610원 2,870,416원 3,348,818원
2인 가구 3,932,658원 2,359,595원 3,146,126원 4,719,190원 5,505,721원
3인 가구 5,025,353원 3,015,212원 4,020,282원 6,030,424원 7,035,494원
4인 가구 6,097,773원 3,658,664원 4,878,218원 7,317,328원 8,536,882원
5인 가구 7,108,192원 4,264,915원 5,686,554원 8,529,830원 9,951,469원
6인 가구 8,064,805원 4,838,883원 6,451,844원 9,697,766원 11,090,727원

이 수치는 정부에서 발표한 중위소득 기준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여러 복지 정책(기초생활보장, 건강보험료 지원 등)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요.

중위소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보통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는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생계급여, 주거급여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 중위소득 60% 이하: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 기초생활보장제도 혜택 가능
  • 중위소득 80% 이하: 일부 건강보험료 지원, 교육비 지원
  • 중위소득 100%: 일반적인 복지 지원 기준
  • 중위소득 120% 이상: 대부분의 복지 혜택 제외 가능

특히 2025년에는 최저임금이 상승하면서 중위소득 기준도 조정되었기 때문에, 복지 혜택 신청하실 분들은 꼭 본인의 가구원 수에 맞는 기준을 확인해보시는 게 좋아요.

마무리

2025년 최저임금과 기준 중위소득, 그리고 비율별 소득 기준을 정리해봤어요. 본인의 가구 소득이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지 파악해 두면 정부 지원 혜택을 받을 때 유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혹시 궁금한 점이나 추가적으로 알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도움이 되는 정보로 또 찾아오겠습니다! 🙌

반응형